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3

넷플릭스 사회 이슈 문제를 다른 다큐멘터리 영화 베나지르를 위한 세 개의 노래 리뷰 후기 "미국인이랑 외국인들이 우릴 감시하려고 보낸 거야. 우리를 녹화하는 카메라로 가득해. 캠프 전체를 찍고 있어." "우린 외국인에게 폭격당하거나 탈레반에게 죽겠지" 다큐멘터리의 배경은 카불 전쟁으로 집을 잃은 사람들이 모여사는 아프가니스탄 난민 캠프. 교육을 받고 싶지만 교육받을 곳이 없다. 군대를 가고 싶지만, 교육받지 못한 자신을 믿지 못하는 아버지로 인해 입대도 할 수 없다. 양귀비 수확으로 돈을 버는 것이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다. 어떻게든, 군인이 되어 직업을 가지고 자신의 가족을 책임지기 위해 준비하는 샤이스타. 하지만 군인으로 지원하기 위한 자기소개서조차 작성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샤이스타. 거기다 보증인까지 필요하다. 직업을 가지는 것도, 탈레반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는 것도, 가족의 지원을 얻.. 2022. 3. 7.
넷플릭스 오리지날 드라마 유대인 하레디 '그리고 베를린에서' 4화 리뷰 그리고 베를린에서 4화 모이셰는 에스티를 뒤따라가 모질게 몰아붙인다. 눈앞이 캄캄해진 나머지 결국 레아를 찾아가는 에스티. 오디션이 끝난 후, 에스티와 얀키는 단둘이 대화의 시간을 갖는다. 4부작 그리고 베를린에서, 마지막 4화이다. 하레디 집단에서 어려서부터 철저하게 자신들의 문화와 종교에 대해 학습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리고 베를린에서 4화'는 시작된다. 사실 드라마를 보면서, 특히 얀키의 모습과 행동, 말들을 보면서 하레디 집단 자체에 대한 생각보다는, 얀키가 어려서부터 배워온, 그리고 주입해온 사실들과 하레디 문화에 대해 생각해본 순간이 많았다. '그렇게 배워왔기 때문에, 그것이 옳고, 당연한 것으로 행동하는' 얀키의 모습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찾고자 떠난 에스티에 대해 얀키를 .. 2022. 3. 6.
넷플릭스 오리지날 드라마 유대인 하레디 '그리고 베를린에서' 3화 줄기리 리뷰 그리고 베를린에서 3화 은밀하게 에스티의 흔적을 따라가는 모이셰. 그리고 처음 접하는 낯선 문물에 눈의 휘둥그레지는 얀키. 무엇보다 장학금이 절실한 에스티는 음악원 친구에게 도움을 청한다. 그리고 베를린에서 3화는 얀키와 에스티가 결혼을 하고 같이 잠을 자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여기에서 하레디 집단의 사람들이 기본적인 성 지식이나 교육을 받지 못해 관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잘 모르는 장면이 나온다. (얀키도, 에스티도, 가족과 주변에서 알려주는 내용으로 알고 있어 성에 대해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듯하다.) 제대로 된 성교육을 받지 못한 것들 외에도 하레디 문화에서는 부모님이 정해준 성관계의 날에, 그리고 아이를 낳기 위한 수단 정도로 묘사되기도 한다. "어제도 끝까지 못 했다며?" "그 이가 얘기해.. 2022. 3. 5.
왓챠 오리지널 드라마 점점 가까워지는데 너무 오글거린다 시맨틱 에러 6화 줄거리 회차가 거듭될수록 러닝타임이 조금씩 늘어난다 ㅋㅋ 알콩달콩 이야기가 점점 늘어나서 그러나 ;;; 전편에서, 마치 고백할 것처럼 다가온 상우. "형 전화 끊어요. 지금부터 중요한 얘기 할 거니까" 그걸 또 받아주고 전화를 끊는 재영 ㅋㅋ "형 같이 게임 만들어요" ㅋㅋㅋ "니가 다짜고짜 와서 몇 마디 건네면, 내가 오케이 해야 돼?" 상우는 이제 재영을 형이라 부르는데, 형이라 부르지 말라는 재영. 단단히 화가 난,,, 아니 삐친 재영 ㅋ 이번 6화에서는 갈등 해소를 위해 상우가 적극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또 그것을 잘 받아주는 재영이 보인다. "선배가 아니면 안돼요. 꼭 선배여야 돼요" "저 진짜 잘할 자신 있어요" 이런 미친. 대사 다른 상황에 넣어도 다 먹히는 대사다. 저번 회차부터인지 언제부터인.. 2022. 3. 3.
728x90
반응형